
경기도 버스 파업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이하 노조협의회)는 29일 오후 4시부터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최종 조정회의를 갖는다.
앞서 노조협의회는 지난 15일 지노위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냈다.
노조는 9월 30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까지 결렬되면 시내․외 버스 50개 업체 소속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노조협의회는 민영제 노선에서 시행 중인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하루 17시간 장시간 노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공공관리제와 마찬가지로 1일 2교대제로 근무 형태를 바꾸고 동일 임금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공공관리제 노선의 경우 통상임금 대법원판결을 적용한 서울 버스노조의 올해 임금인상 요구율(8.2%)에 준하는 임금 인상률을 제시했다.
경기도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를 대비해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도를 중심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파업 대상 노선은 서울 주요 도심과 공항을 오가는 광역버스부터 시내 주요 노선까지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도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과 도, 시군 누리집·누리소통망(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 전파하고 전철 등 대체 운송수단을 활용해 안내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