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SK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망 빨간불…서울의 32배 전력 쓴다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8-22 11:46:03 기사원문
  • -
  • +
  • 인쇄
▲ 용인시, 'SK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망 빨간불… 서울의 32배 수준 
▲ 용인시, 'SK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망 빨간불… 서울의 32배 수준

(용인=국제뉴스) 손병욱 기자 = 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면제하며 속도를 높여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계획’에 대해 전력 공급 리스크가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입법조사처(처장 이관후)는 최근 발간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리스크 진단' 보고서에서 “현재의 전력망과 설비만으로는 반도체 산업단지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술적·제도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첫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역행할 수 있으며, RE100 산업단지 계획과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현 전력 설비와 시스템으로는 초대형 전력 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클러스터에 공급될 전력 규모는 11.25㎢ 부지에 약 21GVA로, 서울(605㎢) 전체 전력 밀도의 32배에 해당하는 1,867MVA/㎢ 수준으로 진단됐다. 서울은 약 35GVA(남서울 변전소 포함)를 수용해 전력 밀도가 58MVA/㎢에 불과하다. 이처럼 좁은 면적에 초고밀도 전력 설비가 집중되면 변전소 부지 부족, 전력망 안정성 저하 등의 문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또한, 반도체 산업은 ‘N-2 신뢰도 기준’ 동시에 2개 설비가 고장 나더라도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어야 하는 수준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이중화된 전력 설비 구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입법조사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과 관련해 ▲변전소 용지 부족 ▲RE100 이행 연계 미흡 ▲한전의 재정부담 및 주민 반발에 따른 사업 지연 ▲탄소중립 정책과의 충돌 등 4가지 리스크를 꼽았다.

이에, 개선 과제로는 △배전망 관리 전담기구(DOS) 설치 △재생에너지 직접 공급·인증제 정비 △지자체 수용성 확보를 위한 보상체계 마련 △접속선로 및 변전소 이중화를 통한 전력망 신뢰도 강화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반도체 산업은 1분의 정전으로도 수십억 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민감 산업”이라며, “정부·지방자치단체·사업자가 전력 공급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