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넷제로 대응 지연, 해운 수출 경쟁력 흔들

[ 환경일보 ] / 기사승인 : 2025-09-28 15:35:00 기사원문
  • -
  • +
  • 인쇄

25일 열린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상풍력과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 토론회 /사진제공=기후솔루션
25일 열린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상풍력과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 토론회 /사진제공=기후솔루션




[환경일보] 2050년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넷제로 규제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한국 해운산업이 대응에 뒤처질 경우 수출 경쟁력 전반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가 국회에서 나왔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제주 청정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목포 녹색해운항로’ 구상이 집중 논의됐다.



9월 25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토론회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상풍력과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에서는 재생에너지 생산지인 제주와 연안항인 목포를 전기추진선으로 연결하는 녹색해운항로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이 토론회는 김원이·문대림 국회의원과 기후솔루션, 태평양환경재단이 공동 주최했다.



국제해운업계는 이미 넷제로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IMO는 10월 새로운 ‘넷제로 프레임워크’를 채택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내는 해상풍력과 항만, 선박 간 연계 전략이 미비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이에 이번 토론회는 재생에너지-항만-해운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국가적 로드맵 필요성을 강조했다.



소윤미 에너지전환포럼 정책국장은 “현 해상풍력특별법은 기본 틀은 마련했지만, 실행은 결국 지자체에 달려 있다”며 “피해 주민에 대한 실질적 보상과 지역 산업 연계로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해운업계는 이미 넷제로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IMO는 10월 새로운 ‘넷제로 프레임워크’를 채택할 예정이다. /사진=환경일보DB 
국제해운업계는 이미 넷제로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IMO는 10월 새로운 ‘넷제로 프레임워크’를 채택할 예정이다. /사진=환경일보DB




강현주 태평양환경재단 아시아기후캠페인디렉터는 “항만이 청정에너지 허브로 전환돼야 하며, 제주-목포 항로를 전기추진선 시범항로로 지정해 실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염정훈 기후솔루션 해운팀장은 “전기추진선은 연안항로 탈탄소화의 현실적인 해법이며, 목포-제주 178km 구간에서 단계적 실증을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 측에서도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박인성 사무관은 “넷제로는 선언이 아니라 현실이며, 한-미 간에는 메탄올 추진선 실증운항도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해상풍력을 통한 전력 공급과 수소·암모니아 전환이 필요하지만, 공공성과 주민 수용성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숙희 전라남도 해상풍력산업과 과장은 “1GW 해상풍력은 약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서남해는 국가 재생에너지 거점이 될 잠재력을 지녔다”고 밝혔다.



김영식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센터장은 “항만 충전 인프라와 연계한 전기공급으로 선박을 재생에너지 저장·소비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며 “풍력-충전-전기선박-배터리를 연계한 국가 산업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상풍력과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후솔루션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상풍력과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후솔루션




이날 토론에 앞서 김원이 의원은 “송전망 확보와 지역 간 전력 격차 해소가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고, 문대림 의원은 “녹색해운항로 구축 특별법을 통해 새로운 경제 기회를 열겠다”며 입법 지원을 약속했다.



주최 측은 “녹색해운항로와 탄소중립항만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회와 정부가 정책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수출 경쟁력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