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광주 시민, 1급 발암물질 지하수에 2년간 노출"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7-17 13:56:00 기사원문
  • -
  • +
  • 인쇄
▲ 17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모습 사진=이용우기자
▲ 17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모습 사진=이용우기자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광주광역시와 광산구가 2년 넘게 시민에게 알리지 않고 방치한 1급 발암물질 지하수 오염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 조은희 비상대책위원은 17일 비대위 회의에서 "시민이 마시는 물에 발암물질이 섞였는데도 광주시는 아무런 공지도, 조치도 하지 않았다"며 "이는 단순한 환경 사고가 아닌, 민주당 지방정부의 무책임이 빚은 명백한 인재"라고 비판했다.

광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10억 원을 들여 하남산단 지하수·토양 오염 정밀 조사를 진행했고, 보고서에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각각 기준치의 466배, 284배 초과 검출된 사실이 담겼다.

그러나 이 결과는 시민에게 공개되지 않았고, 오염된 지하수는 인접 주거지역인 수완지구 생활용수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며 시민 건강을 위협했다.

조 위원은 "발암물질보다 더 무서운 것은 시민을 속인 행정"이라며, 은폐·방치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문책, 오염 지하수 사용 즉각 중단 및 관정 폐쇄, 전국 단위 환경 유해물질 관리 체계 재점검, 피해 주민 건강검진 및 치료 보상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총리실 산하에 범정부 환경오염 대응 테스크포스를 구성해 이번 사태를 국가적 환경 재난으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산구는 뒤늦게 사과하며 오염 확산 방지와 정화 대책 마련을 위한 TF 구성과 수질검사 확대를 발표했지만,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뒷북 행정’이라며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행정착오를 넘어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재난 수준의 문제로, 지방정부의 책임과 대응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