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가축분뇨를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축분뇨 자원순환 활성화 기본계획(2025년~2029년)'을 수립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3대 분야 8대 전략, 14개 실천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총 17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축산업이 직면한 분뇨 처리 시설 부족과 악취 민원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의 일환이다.
경기도가 추진하는 친환경 과학순환농업은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고품질 퇴비로 전환해 농경지에 환원하고, 농경지에서 생산된 볏짚과 농업 부산물을 다시 사료로 활용하는 순환 체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가축분뇨 자원순환 활성화의 비전으로 친환경 과학순환농업 활성화, 가축분뇨 자원순환 방식의 다양화, 가축분뇨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등 3대 핵심 분야를 설정했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지역별 공동퇴비화시설 확충, 퇴비유통전문조직 육성 및 활성화, 고품질 퇴비 생산 지원 등이 포함된다. 더불어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지원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이번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가축분뇨 자원순환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경기도의 농축산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의 이런 노력으로 2024년 1만 2000톤의 퇴비가 1040ha농지에 환원되었고, 2024년 전년대비 악취관련 민원이 18%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