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초반으로 안정세를 보였지만 농축수산물의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며 체감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여기에 환율 상승과 해외 원재료 가격 인상까지 겹치며 가공식품·외식 물가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물가가 오를 이유가 없는데 망둥이 뛰고 꼴뚜기 뛰듯이 오르고 있다"며 관계 부처에 대응을 지시하기도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유통구조, 시스템 문제 등 근본적 대책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대응도 해야겠지만 근원적인 물가 회복도 고민해야 한다"며 "유통 구조나 비정상적 시스템 때문에 생기는 구조적인 문제도 철저히 챙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까지 더해지면서 국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가 지난 6월 대출 규제 강화와 9월에는 공급확대 대책을 내놨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9월 한 달 동안 0.82% 상승해 불안한 흐름을 보였다. 이와 함께 전셋값도 동반 상승하며 수요자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반면 지방 부동산 시장은 건설경기 침체와 인구 감소로 장기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지방 중소도시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건설사 부도 위험이 커지면서 지역 경기 위축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 등의 문제로 단기간 물가 안정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부동산 문제까지 맞물려 경제전망과 정책 마련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정 확대가 불가피하지만 물가와 부동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면밀히 살펴야 하고 금리 문제도 얽혀 있다"며 "물가와 부동산이 오르면 금리 인하가 어렵지만 금리가 내려가지 않으면 기업과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지속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물가·부동산·금리 문제가 맞물려 있어 경제 전망을 어렵게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