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 강화, 상장지수펀드(ETF) 수요 둔화, 그리고 약화된 기술적 차트 흐름이 겹치면서 강한 하락 압력에 직면했다.
현재 9만 2,000달러에서 8만 6,500달러 사이의 핵심 지지 구간에서 방향성을 시험 중이며, 이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대규모 조정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코인리더스 보도에 따르면 투자 전문매체 FX스트릿은 최근 강달러 기조, 혼조된 주식시장, 유동성 축소 등의 영향으로 위험자산 전반에 매도세가 재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유동성에 민감한 비트코인의 낙폭이 더 크게 확대되었으며, 비트코인 현물 ETF의 일일 순유입 규모 감소와 기관 매수세 약화 또한 하락세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기술적 분석으로도 비트코인은 9만 6,000~9만 8,000달러 지지선을 이탈한 후 고점이 낮아지는 하락 추세를 굳혔다. 현재 가격은 '위클리 페어 밸류 갭(Weekly FVG)'이라는 주간 단위 중요 변동성 구간의 중간부에 위치해 있어, 향후 일일 캔들의 움직임이 추세의 갈림길이 될 전망이다.
단기 반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트코인이 8만 7,000~8만 6,500달러 구간에서 매도세를 흡수하고 강하게 되돌려 9만 3,000~9만 4,000달러를 넘는다면 9만 6,000~10만 달러대까지 완만한 반등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를 하락 추세 속의 조정 성격으로 보고 있어, 본격적인 추세 반전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만약 8만 6,500달러 지지선이 무너진다면 상황은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이 레벨은 주간 구조상 마지막 지지선으로, 이탈 시 8만 3,000~7만 8,000달러대 '위클리 오더 블록(Weekly OB)'으로의 하락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9만 3,000~9만 4,000달러를 회복하기 전까지 모든 반등은 제한적이며, 추세는 여전히 하방에 있다"고 강조하며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