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은 재개발을 통해 부산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으며 많은 시민이 찾는 명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북항 일원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물리친 부산대첩의 격전지이자 민족사적 상징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사적 장소에 조성된 6개의 공원에는 아직까지 공식 명칭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북항 내 공원들은 ▶문화공원 5개소 ▶역사공원 1개소로 지정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약 19만6천㎡에 달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북항친수공원’이라는 임시 명칭으로만 불리고 있어, 시민들 사이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강주택 의원은 공원의 주소는 ‘이순신대로 164’로 명시되어 있어 역사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정작 공원 명칭에는 이 같은 장소적 의미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전하면서, 공원 명칭을 ‘부산대첩기념공원’으로 조속히 지정해, 북항의 역사성과 도시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원도심 산복도로 일원에 지정된 고도지구 규제를 해제해 줄 것을 촉구했다.
1972년 최초 지정된 이후 도시 환경 변화와 주민 불편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채 50년 넘게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어 노후주택과 빈집증가, 인구 소멸 등 원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영주동 시민아파트는 1971년 준공된 부산 최초의 공공아파트로, 1996년부터 재난위험시설 D등급으로 지정됐지만 ▶고도지구 규제 ▶보상 이주 지연 ▶행정 미추진 등으로 수차례 정비계획이 무산된 대표 사례다.
강 의원은 “60여 세대가 붕괴 위험 속에 방치되어 있는 현실은 행정의 실패이자 무책임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강주택 의원은 ▶고도지구 해제를 포함한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의 적극 추진 ▶영주 시민아파트 정비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 ▶부산시의 구조적 규제 개선 등을 촉구하면서 원도심 개발을 가로막는 고도지구 해제를 통해 노후주택을 정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