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국제뉴스) 강동진 기자 = 제106주년 삼일절을 맞아 오는 3월 1일(토) 오전 9시 북구 중앙동 포항소망교회 (옛 여천장터) 일원에서 중앙동개발자문위원회와 16개 자생단체 공동으로 ‘여천 3.1 만세운동 재현문화제' 행사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1919년 3월 11일과 12일 양일간 여천장터에서 일어난 경북 최초의 만세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당시 수천 명의 포항 시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일제에 항거했던 그 뜨거운 현장을 재현한다.
행사에서는 독립선언문 낭독과 만세삼창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106년 전 선조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용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천 만세운동은 매일신보 1919년 3월 15일자‘포항 밤중에 소동해’라는 제하의 기사에‘조선독립만세운동을 개시했다’는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
당시 여천시장 일대는 일본 헌병대·경찰서·법원·군청·세무서 등의 행정기관과 일본인 집단 거주지 본정(本町)이 위치해 일본 군경의 삼엄한 경계가 이뤄지던 곳이었음에도 선조들이 일제의 총칼 앞에서 목숨을 걸고‘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는 포항의 3·1운동은 포항 인구 6,500여 명 중 7차례에 걸쳐 약 2천4백여 명이 참여했으며, 사망40명, 부상 330명, 투옥 280여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운동은 영해 만세운동으로 이어져 경북 동해안 지역 독립운동의 불씨가 되었다.
포항 여천시장 3.1운동이 경북지역 독립만세운동의 효시가 됐으나 지난 2019년 한차례 축제행사를 마련한 뒤 잊혀져 가는 등 그동안 여천 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가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하고, 포항 시민들에게 지역의 자랑스러운 독립운동 역사를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행사를 주최한 장두대 포항시 중앙동개발자문위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우리 지역의 독립운동 역사를 바로 알고, 선조들의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되새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포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하도록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한편 포항 여천동에서 일어난 ‘여천 3.1 만세운동'은 당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을 낸 만세운동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