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의연대와 전국사무연대노동조합은 26일 오전 11시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임서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8/8013_14691_1748.png)
“곶감 빼먹듯이 자기 배만 불리는 신협 이사장들이 있다.”-신협민주화추진특별위원회 장계영 위원장
금융정의연대와 전국사무연대노동조합은 26일 오전 11시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신협 이사장의 장기 집권을 용인하는 구조적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시민사회단체는 신협의 임원 선출 구조가 편법으로 무제한 연임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사장 스스로 연임 제한을 회피하기 위한 회전문으로 상임임원 제도를 악용하면서다.
또한 이들은 이사장을 감독해야 할 상임감사 제도가 이사장의 지인 혹은 신협중앙회 퇴직 직원들이 자리를 보장받는 ‘낙하산’ 인사의 통로로 변질됐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권영국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임서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8/8013_14692_1843.png)
정의당 권영국 대표는 “신협 이사장, 상임이사, 상임감사 등 주요 임원들의 임기를 엄격하게 제한해야 한다”며 “최대 12년 이상 임원으로 재직할 수 없도록 제한해야 하고 상임이사나 상임감사만 역임하는 경우에도 8년을 초과할 수 없도록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사무연대노동조합 김중근 오산신협지부장은 “이사장이 법인 차량을 차량 업무 일지 없이 10년 이상 자차처럼 사용하고 급여를 받는 상임이사임에도 업무와 무관해 보이는 단체 행사 참여 등 지나치게 반복된 여비를 지급받았다”며 “특정 직원들에 대한 불이익과 직원 차별이 일상적으로 자행돼 왔다”고도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더리브스와 통화에서 “신협 별로 상황이 다 다르고 특정 신협의 문제일 수 있다”며 “각각 신협이 다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산신협에 대해) 최근 검사가 진행됐고 절차에 맞지 않는 행위들이 사실이라면 그에 맞는 제재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서우 기자 dlatjdn@tleav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