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한국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우며 GPU 도입, 데이터센터 확충 등 자원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중국 등 선두국가와의 격차는 여전히 크며, 막대한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문제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입법조사처는 8일 발표한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양손잡이 전략'에서 “단순한 GPU 확보만으로는 부족하며, 친환경 데이터 인프라와 시장 환경 조성을 병행하는 지속가능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美·中 따라잡기 쉽지 않아…‘규모의 경제’ 한계
정부는 추경 1조4,600억 원을 투입해 GPU 1만3,000장을 확보하고,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또 10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민간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미국 오픈AI는 단일 기업 차원에서 72만 장의 GPU를 가동 중이며, 미국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5,000억 달러(약 630조 원)를 유치했다. 중국도 GPU 자급 체계와 스타트업 생태계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단순 자원 투입만으로는 세계적 격차를 좁히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양손잡이 전략’…자원 확충과 지속가능성 결합
입법조사처는 자원·인프라 확충과 함께 친환경적 시장 환경을 동시에 구축하는 ‘양손잡이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사업화 보장으로 AI 샌드박스를 도입해 규제 부담을 완화하고, GPU·데이터·인재가 집적된 ‘AI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과 재생에너지 활용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또한 수요 확대로 정부·공공부문이 선도적 AI 전환(AX) 사례를 확산해 민간 도입을 유도하고, 세액공제·보조금 등을 통해 비용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친환경 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반 강화로 데이터센터와 전력 인프라를 단순 확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재생에너지 연계와 에너지 효율화를 통해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AI 윤리·사회적 합의 논의도 병행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국제협력 통한 지속가능 AI 생태계
보고서는 “한국 혼자서는 복잡한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어렵다”며 아세안·중앙아시아 등 신흥국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의 연계는 AI 산업의 에너지 수요를 친환경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방안으로 꼽았다.
입법조사처 정준화 입법조사관은 “GPU·데이터센터 확충이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만큼, 국가 차원의 전략적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국가인공지능위원회와 국회가 자원 공급 정책과 시장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성 과제를 균형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자원 투자에서 나아가 에너지 효율, 탄소 감축, 국제협력을 결합한 ‘지속가능한 양손잡이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 보고서의 요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