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한국의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와 한국형 소형원자로 ‘스마트 100’이 전 세계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운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을)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는 최근 발행한 보고서에서 i-SMR에 평균(17.38점)보다 높은 22점을, 스마트 100에는 19점을 부여했다.
NEA는 인허가, 부지, 파이낸싱, 공급망, 참여, 핵연료 등 6개 항목에 대해 6점씩 배점을 주어 평가하며, 이번 보고서에서는 18개국이 개발 중인 74개 노형을 대상으로 기술 진전 상황을 분석했다.
i-SMR은 전체 노형 중 10위, 스마트 100은 13위에 올라 현재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인 원전 7기를 제외하면 상위권에 해당하는 평가를 받았다. 국내 노형은 인허가와 부지 항목을 제외하고 대부분 항목에서 고른 점수를 기록했다.
NEA의 앞선 보고서에 수록된 51개 노형과 비교하면 총점 기준 평균 1.94점 상승해, 전 세계 SMR 기술이 전반적으로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SMR이 1,000기 이상 도입될 것으로 전망하며, 누적 투자 규모는 약 6,700억 달러(약 93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은 원전 수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SMR 시장 진출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빌 게이츠 이사장과의 만남에서 “한국은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 모두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황정아 의원은 “SMR은 AI 시대의 전력 수요를 감당할 핵심 인프라이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필수 기술”이라며 “국회 차원에서 SMR 특별법을 신속히 통과시켜 기술 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