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해=국제뉴스) 구정욱 기자 = 남해군과 손발을 맞추며 농어촌기본소득사업 선정을 위해 혼신을 힘을 기울였던 지역 유지들이 “남해군의 쾌거가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며, 강요된 지방소멸을 넘어 ‘지속가능한 남해를 위한 첫걸음’을 내디딘 것”으로 평가했다.
남해군농어촌기본소득추진연대는 21일 남해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정부의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협력과 더불어 지역사회 전체의 노력이 절실함을 강조했다.
추진연대는 회견에서 “어제 농림축산식품부 공모 결과 전국 7개 군이 선정됐으며, 경남에서는 유일하게 남해군이 선정됐다”며, “이는 남해군민 모두가 지난 4월부터 흘려온 땀과 열정, 포기하지 않은 연대의 결과이자 남해의 의지가 만들어낸 값진 결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남해군에서는 올해 5월 농어촌기본소득 남해운동본부 출범을 시작으로 경남행복학교남해군학부모대표, 남해군농가주부모임연합회, 남해군농어업회의소, 남해군상공협의회 등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수많은 단체들이 힘을 모아 ‘남해군농어촌기본소득추진연대’를 결성했다.
강연회, 교육, 언론사 기고 등을 통해 농어촌기본소득의 필요성을 널리 알렸고, 군민 1만 명이 넘는 서명운동과 500여 명이 참여한 유치대회를 통해 전국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뜨거운 참여와 열망을 보여줬다.

하지만 그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않았다. 일부 정치권의 협조 부족과 광역단위 행정의 소극적 태도가 큰 걸림돌이었지만 남해군 행정과 군민들은 포기하지 않고 민관의 단결된 노력으로 남해군을 기본소득 시범사업 지역으로 쟁취해 냈다.
추진연대는 “농어촌기본소득은 단순한 소득보전 정책이 아니라 농어촌의 지속가능성을 회복하고 지역공동체를 다시 일으키는 근본적인 전환의 제도”라며, “강요된 지방소멸이 아니라 자립과 자치를 향한 마중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사업이 남해의 경제를 살리고, 청년이 돌아오며, 어민과 농민이 안심하고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토대가 돼야 한다”면서 “진정한 성공은 시범사업이 끝난 후에도 본사업으로 확대·정착되는 것에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끝으로 남해군농어촌기본소득추진연대는 “남해군민의 꾸준한 관심과 참여, 행정의 적극적인 추진, 중앙정부와 경상남도의 실질적 협력이 절실하다”며, “지방소멸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바꿀 수 있는 현실이다. 이제 남해에서부터 그 변화를 시작한다”고 역설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lawyer009@naver.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