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기준을 완화했지만, 가장 큰 수혜자는 병·의원으로 드러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밝힌 중소벤처기업부 자료에 따르면 업종 완화 이후 신규 가맹점 3,654곳 중 병·의원이 1,777곳으로 절반을 넘었고, 결제액은 348억 원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특히 세종시 A정형외과는 연간 13억 원 이상을 상품권으로 결제받았고, 10억 원 내외 매출을 올린 병·의원이 5곳이나 등장했다.
중기부는 “물리치료 환자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지만, 대형 병원에서 고액 결제가 이뤄지는 것은 정책의 본래 목적과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특히 해당 병원의 총매출액은 파악되지 않아, 골목형상점가에 위치한 대형 병원도 혜택을 받는 구조는 제도적 허점을 드러냈다.
현재 온누리상품권 가맹 자격에 연매출 30억 원 이하 제한을 두는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계류 중이다.
김원이 의원은 “가맹기준을 섣부르게 완화해 결국 병원만 수혜를 보고 있다”며 “도수치료 중심의 대형 병원에서 수억 원 결제가 나오는 게 정책 취지에 맞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 중심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