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육지 물 급격히 사라져…"돌이킬 수 없는 수준"

[ 라온신문 ] / 기사승인 : 2025-03-30 08:11:33 기사원문
  • -
  • +
  • 인쇄


지구온난화로 21세기 들어 육지의 물이 급격히 사라지면서 가뭄 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00~2002년 올림픽 규격 수영장 6억5천만개를 가득 채우는 수준인 1천614GT(기가톤, 1GT은 10억t)에 달하는 물을 잃었으며, 이후로도 계속해 물이 사라지고 있어 돌이킬 수 없는 수준까지 이르렀단 분석이다.



30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서기원 서울대 교수와 류동열 호주 멜버른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이런 연구 결과를 28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육지의 담수, 지하수 물이 대기를 거쳐 바다로 빠져나간다는 추정은 있었지만, 육지 물의 양 변화를 중력 변화를 통해 관측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 '그레이스'(GRACE)는 2002년 3월 발사됐기 때문에 이전 시기 육지 물의 양 변화를 알아낼 방법은 없었다.



연구팀은 비어있는 2000~2002년 시기 물 소실량을 확인하기 위해 줄어든 육지 물의 양만큼 해수면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세우고 해수면 데이터와 기존 소실량을 토대로 역산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또 육지 물과 바닷물 질량 변화가 지구 자전축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서 교수팀의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예측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02년 사이 육지 물 손실량인 1천614GT은 해수면이 매년 1.95mm 상승하는 수준으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그린란드 얼음이 사라진 양이 900GT인 걸 감안하면 엄청난 수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후로도 육지 물은 더 이상 회복되지 않으며 2016년까지 추가로 1천9GT이 더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육지의 물 손실 대부분은 2000년 이후 온도가 올라가며 대기가 품을 수 있는 물의 양이 늘며 육지의 물 증발량도 늘어난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했다.



이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기록적인 폭우 등에 의한 홍수가 예상되기도 하지만, 온도 상승으로 인한 증발량 증가는 전 지구적인 가뭄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서 교수는 "강수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증발은 전 지구 육지서 어디나 일어나는 현상"이라며 "앞으로 이에 의해 육지가 말라갈 확률이 대단히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런 전 지구적 가뭄을 염두에 두고 기후 모델을 개선해 미래 기후를 예측해야 하며, 한국도 지하수를 비롯한 물의 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측망을 구축하는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근 전 지구적으로 많이 늘어나고 있는 산불과 관련해 서 교수는 "북미나 유라시아 중앙 등은 가뭄이 심하지만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약한 편으로 분석됐다"면서도 "토양에 수분이 없으면 땅이 메마르고, 식생도 메마를 테니 가설을 갖고 산불과 영향성을 조사해 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연합뉴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