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인1표제' 논란 핵심은 찬반 문제라기 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그리고 취약지역에 대한 전략적 문제, 과소대표 되고 있는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 등등이 실제 논란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대표-최고위원 선출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운영해온 중요한 제도를 충분한 숙의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폐지하는게 맞느냐하는 문제제기"라고 주장했다.
더구나 "'왜 대통령 순방 중에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느냐 그래서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느냐'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 "지난 2023년 우리당은 대의원제 축소를 위해 과거 60:1이던 대의원 대 권리당원의 표 반영을 20:1로 축소시킨바가 있다. 당시 논의 과정은 지금과 다르게 충분한 숙의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졌고 절차적 문제도 정당성을 갖춰서 많은 사람들의 이견을 함께 설득해가면서 사실상 만장일치로 합의를 해냈다"고 상기시켰다.
또 "당시에 권리당원 1인 1표제에 대한 열망은 매우 큰 것이 사실이고 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지만 한걸음씩 점진적으로 바꿔나가자는 합의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우리당내에는 당원들조차 대의원제의 사실상 폐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이들이 다수 여전히 있고 이런 분들이 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숙의를 거치지 않고 급하게 처리할 이유가 없다고 더구나 불과 1개월 가입 당원의 참여, 권리당원의 16.8%밖에 참여하지 않은 여론조사를 생각한다면 무조건 정해졌으니 따라오라는 식의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것은 원칙의 문제이고 절차의 문제이고 지금도 여전히 반대하고 있는 대의원뿐만 아니라 많은 권리당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면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방식의 논의 당원 전반에 대한 논의 등 숙의 과정을 거칠 것"을 거듭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