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에서 ‘Filtered Measurements(FILM)’ 기술 문서를 발간하며 새로운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O-RAN얼라이언스는 2018년 설립된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엔비디아 등 전 세계 300여 개 통신 장비 제조사와 연구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2024년 한국 기업 최초로 O-RAN 표준 회의를 주최하며 활동 범위를 넓혀왔다.
‘FILM’은 AI가 네트워크 품질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통신 품질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전체 단말의 평균 데이터를 기반으로 품질을 분석했지만, FILM은 신호 세기·위치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의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수집해 보다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을 통해 확보된 정밀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학습과 추론을 수행해 네트워크 품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제조사와 관계없이 일관된 데이터 형식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SKT는 2024년 2월 FILM을 O-RAN얼라이언스에 신규 표준화 피처로 제안했으며, 같은 해 8월 정식 승인 이후 표준화 책임사로 참여했다. 이후 13개 글로벌 통신사 및 장비 제조사와 공동으로 기술 요구사항과 활용사례를 정리한 문서를 완성했다. 이는 국내 통신사가 개별 기술 피처 단위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한 첫 사례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본부장은 “‘FILM' 당사의 네트워크 비전인 ‘네트워크 AI’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이번 기술 문서 발간은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사업자와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관련 표준화를 선도하고, 미래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