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나,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월별 등락 가운데서도 전반적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월과 9월 각각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는 모습’, ‘긍정적 신호가 강화되는 모습’으로 평가했던 것보다 한층 자신감 있는 표현이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https://www.casenews.co.kr/news/photo/202510/18708_40594_4427.jpg)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보합(0.0%)을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이 2.4% 증가하며 선전했지만, 건설업(-6.1%)과 서비스업(-0.7%)은 감소세를 보였다. 소매판매(-2.4%)와 설비투자(-1.1%)도 모두 줄었다. 다만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0.2%포인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0.5%포인트 각각 상승해 중장기적인 경기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7월에 좋았던 산업활동이 8월에 조정받았지만, 3분기 전체로 보면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9월 속보 지표에서는 소비와 고용의 회복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카드 국내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해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도 18.1% 급증하며 연중 최고치를 달성했다. 고용시장 역시 개선세를 보였다. 9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1만 2000명 늘어나 19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1%로 전년과 동일했다. 조 과장은 “연초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2분기 이후 회복되기 시작했고, 소비쿠폰이 회복세를 가속화하는 역할을 했다”며 “이러한 소비심리 개선이 지속된다면 생산과 투자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대외 여건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 9월 수출은 조업일수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6% 증가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27억 5000만 달러로 6.1% 감소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전월(1.7%)보다 확대됐으며, 석유류 가격 상승 전환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0%, 생활물가 상승률은 2.5%로 나타났다. 정부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와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교역 및 성장 둔화 우려를 경계했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https://www.casenews.co.kr/news/photo/202510/18708_40595_4450.jpg)
기재부는 향후 정책 역량을 내수 진작과 통상 리스크 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추경 신속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규모 할인행사 등을 통해 소비와 지역경제 활성화의 계기를 만들고,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 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도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낙관적 진단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의 지속성이 아직 뚜렷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고용과 소비의 개선은 긍정적이지만, 대외 불확실성과 내수의 구조적 제약이 병존하고 있다”며 “정책의 방향성이 단기 부양보다 중장기적 체질 개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