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뉴스) 이병훈 기자 = 통계청의 쌀 소비량 통계가 실제 국민 체감과 크게 어긋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의 쌀 소비량 통계에는 즉석밥과 외식, 학교·기관 급식, 쌀가공품 소비가 모두 누락되어 공식 통계상 ‘1인당 쌀 소비량’이 실제의 절반 수준으로 왜곡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일영 의원(민, 연수을)이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인당 쌀 소비량은 1990년 119.6kg에서 2024년 55.8kg로 53% 감소한 것처럼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는 ‘가구 내 자가취사용’만 집계하고, 즉석밥·급식·외식·가공품 소비는 모두 0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일영 의원은 “즉석밥, 술, 떡, 급식 등 실제로 국민이 소비하는 쌀이 모두 빠진 통계를 ‘1인당 쌀 소비량’이라 발표하는 것은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일”이라며 “이러한 부실 통계에 근거해 정책을 수립하면 농업 수급과 예산 정책이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즉석밥 시장 연간 쌀 소비량은 약 14만톤으로 추산된다. 2023년 떡, 면, 막걸리 등 국내 쌀가공식품 제조업체의 쌀 구매량만 64만 톤에 달한다. 전국 급식 시설과 외식업계에서 사용되는 쌀의 양도 연간 수십만 톤 규모지만 공식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아 실제 쌀 소비가 과소 계상되는 구조이다.
급식 및 외식 연간 쌀 소비량을 보수적으로 약 20만 톤으로 산정하더라도, 현재 통계에 집계된 1인당 쌀 소비량 55.8kg과는 약 20kg 차이가 발생한다. 각종 전문가와 현직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해당 통계를 인용하고 있어 정책이 국민 체감과 괴리가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통계청은 2023년 이후 외부 자문과 자체 조사, 연구 과제를 통해 개선 방안을 논의했지만, 아직까지 외식·급식 부문 쌀 소비량을 반영하는 체계는 마련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이어 정 의원은 “쌀 소비량 통계는 농업정책의 기본 지표이자 식량자급률과 직결되는 국가 통계”라며 “통계는 정책의 기초이자 신뢰의 시작점으로 국민의 실제 소비 패턴을 반영될수 있도록 이번 통계청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