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 체포동의안 국회 가결 이후 민주당 내 ‘이탈표’를 둘러싼 계파 간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친명계는 가결표를 던진 것이 ‘해당 행위’에 해당한다며 가결표를 행사한 사람을 색출하자고 비명계를 공격했고 비명계는 반민주적인 주장이라며 반박했다.
당 일각에서는 ‘최악의 시나리오’ 상황까지 거론되고 있다.
제1야당 대표 구속이라는 초유의 사태, 현 지도체제를 둘러싼 내분이 자칫 분당 위기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친명계가 ‘가결파 색출’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당내 혼란은 극심해지고 있다.
친명계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헌정사에 일찍이 없었던 야당 대표 체포·구속이라는 죄명이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며 “검찰과 윤석열 정권에 놀아난 민주당 가결파들의 폭거도 기가 막힌다”고 비명계를 저격했다.
정 최고위원은 의원 전원에 이 대표 구속영장 실질심사 기각요청 탄원서를 받으며 제출한 의원과 그러지 않은 의원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서은숙 최고위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가결 투표를 했다고 밝힌 의원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입장에는 이 대표가 구속되더라도 비명계의 입지가 넓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은 구속의 책임을 비명계에 돌리며 비명계에 대한 친명계의 압박과 비난 수위는 더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
반면 비명계는 영장실질심사를 계기로 전면적인 쇄신이 필요하다고 맞섰다.
김종민 의원은 “친명·비명의 문제가 아니라 방탄 정당에서 벗어나서 국민 민심으로 향하느냐 아니냐 가장 중요한 문제”라며 “기각이 되든 인용이 되든 이후에 똑같은 과제가 남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응천 의원은 “당 대표가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불체포특권 포기를) 분명히 천명했다”며 “당이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가기 위한 정치적 행동을 해당행위라고 하는 건 진짜 ‘적반하장’”이라고 맞받았다.
이상훈 기자 hksa707@idaeg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