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 "공직자 자격 없다"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7-10 20:22:40 기사원문
  • -
  • +
  • 인쇄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사진=프로필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사진=프로필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은 10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박사학위 논문이 과거 발표한 논문과 상당 부분 동일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명백한 자기표절이자 연구 부정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정훈 의원에 따르면, 배 후보자는 2006년 광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에서 3D 영상 재생 기술을 주제로 연구를 발표했으나, 이 논문의 일부 챕터(16~29쪽)가 2005년 미국 학회에 발표한 영문 논문과 문장, 그림, 수식까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해당 부분에 어떠한 출처 표기도 없었다는 점이다. 더불어 같은 해 한국통신학회에 투고된 국문 논문과도 제목과 구조, 결론이 유사했지만, 이 역시 출처가 명시되지 않았다.

미국 학회는 출판물 재사용 시 출처 명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중복 제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또한 2007년 제정된 광운대 및 교육부의 연구윤리 규정에서도 출처 없이 이전 연구를 사용하는 행위는 ‘부당한 중복게재’로 명시되어 있다.

복수의 이공계 교수들 역시 “당시에도 출처를 명시한 연구자들이 있었으며, 핵심 개념이 아닌 전체 내용을 통째로 옮겨 쓴 것은 명백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정훈 의원은 “출처가 빠진 채 동일한 내용을 반복 활용한 것은 자기표절이자 연구 부정행위”라며 “과기부 장관은 국가 과학기술 연구사업을 총괄하고 연구기관을 감독하는 자리인 만큼,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은 누구보다 엄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이런 인선을 강행한다면, 국민들은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에 심각한 의문을 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표절 의혹을 넘어, 공직 후보자의 자격과 연구윤리 기준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시험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