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위원장 안호영) 주관으로 20일 국회 본청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도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중앙환경분쟁조정위, 한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등 주요 기관은 환경권 보장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주요 업무 성과와 향후 계획을 보고했다.
이날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올해 1월 법령 개정으로 환경 피해 조사와 기소, 조정 서비스를 연계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57명의 전문가 위원 구성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 화학물질 유출 등 추가 분쟁 대상에 대한 조정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국민이 환경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중앙·지방 위원회와 제도 홍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고 보고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수도권 2,600만 주민의 식수원인 한강 수질 개선과 환경 안전망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상습 침수지역 하천 정비, 홍수 방어 인프라 설치, 팔당호 조류 경보제 운영 등 안전한 물 환경 조성 사업과 화학 사고 예방, 생활화학 제품 감시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협력을 통한 환경 서비스 제공에도 주력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올 여름 극한 호우와 폭염, 가뭄 속에서도 24시간 비상 대응 체계를 운영하며 디지털 트윈과 AI 기술을 활용해 댐 하류 안전과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유지했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확대, 물순환 탄소중립 도시 조성, 해외 물시장 진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은 기후, 대기, 물, 자원 순환, 화학 안전 등 전 분야에서 탄소중립과 환경 친화적 발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 오염물질 관리,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디지털 기반 하수도 관리, 재생원료 사용 확대 등 정책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안호영 위원장과 의원들은 이날 보고를 토대로 각 기관의 정책 개선 사항과 발전 방향을 논의했으며, 기관들은 제안된 의견을 신속히 반영해 국민 안전과 환경권 보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