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14일 민주당 대선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당내 대선 경선룰로 제안한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등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경선 보이콧'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6·3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 전 의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리고 배제한 민주당 경선을 거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죄송하고 부끄럽다. 그렇지만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며 "저는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계엄과 내란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되면 정치가 복원되는 시간을 빨리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저는 민주당의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18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하는 ‘완전 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지만, 당에서는 후보 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하지 않고 ‘오픈프라이머리 불가’를 발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나. 그런 역선택이 민주당 경선에서 언제 있었냐”고 지적했다.
당 주류 인사들이 국민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특정 종교 집단 또는 정당 지지층이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 데 대한 반박이다.
김 전 의원은 "저는 탄핵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출마선언을 했다. 제왕적 대통령제인 87년 체제를 유지한 채 취임하는 21대 대통령은 누가 되어도 증오와 분노의 정치를 증폭시키고, 국민주권의 사유화 유혹과 정치폭력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며 "진정 민주당의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며 “그리 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당분간 외부 공개 일정을 줄인 채 무소속 출마 등의 다양한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의원 측은 "대선 불출마는 아니다"라며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오후 중앙위원회를 열어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 제정의 건을 의결한다. 이후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대선 경선 일정 등을 확정해 공고할 예정이다. 조기대선 후보를 결정하는 경선 규칙(룰)은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국민참여경선)'로 사실상 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