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혜 의원, “윤석열 정부 R&D 삭감... 본질은 ‘자가당착’과 ‘탄소중립 포기 선언

[ 데일리환경 ] / 기사승인 : 2025-10-12 19:46:14 기사원문
  • -
  • +
  • 인쇄
[데일리환경=안상석기자] 윤 정부의 R&D 예산 대폭 삭감으로 2024년 산업부문에서만 55개 과제가 중단됨에 따라 638억 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한 가운데, 무분별한 삭감이 윤 대통령 본인이 기후위기 대응법으로 제시한 수소와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관련 연구마저 좌초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23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에너지와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정상회의’에서 “원전과 수소 등의 비중을 높이고, CCUS 등 기술혁신에 속도를 내겠다”라고 발표했다.









▲예산삭감에 따른 산업부문 중단과제 현황



하지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지혜 의원(의정부시갑)이 산업통상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예산 삭감’을 사유로 중단돼 가장 큰 매몰비용을 발생시킨 것은 CCUS 관련 연구과제임이 밝혀졌다.

2023년까지 약 35억 원의 정부재정이 투입된 '포집 CO2 활용 고부가 케미컬 제조 실증기술 개발 과제'를 포함해 수소·CCUS 관련 중단 과제 단 3건에서 발생한 매몰비용이 약 70억 원에 달한다. 전체 매몰비용의 11% 수준이다. ‘R&D 예산 삭감이 정부 정책과의 정합성조차 고려되지 않고 막무가내로 이루어졌다는 방증’이라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제로 범위를 넓히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전체 중단 과제 중 탄소배출 저감·에너지 효율 제고·재생에너지 확대·친환경자동차 기반 강화 등을 목표로 하는 연구는 총 26건으로 약 47%를 차지한다. 중단에 따른 매몰비용 역시 약 329억 원으로 총액의 반이 넘는다.

박지혜 의원은 “이로써 윤석열 정부의 R&D 예산 삭감은 ‘자가당착’이자 ‘탄소중립 포기 선언’임이 분명해졌다”라며 “원칙도 근거도 없는 삭감으로 혁신기술 개발과 녹색전환에 ‘비상계엄’을 선포한 꼴”이라고 규탄했다.

이어 박 의원은 “국민주권정부에게 윤석열 정부가 무너뜨린 R&D 생태계를 복원할 책무가 주어졌다”라며 “국가 전체 탄소 배출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R&D를 대폭 확대해 산업 경쟁력과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일에 진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