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 영어 영역의 난이도가 작년 수능과 비슷하고 지난 6월 모의평가보다는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EBS 현장 교사단 소속 김예령 대원외고 교사는 3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교사는 "신유형 없이 작년 수능의 출제 경향을 유지하며 소위 '킬러문항'의 요소는 배제했다"며 "공교육을 통해 지문을 충실하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수험생들이 정답을 맞힐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문항에서 지문과 선택지의 정확한 이해를 요하는 문항으로 변별력이 확보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영역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한 문항이 출제됐다"고 했다.
김 교사는 "영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한 영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어휘 및 문법 문항을 포함했으며 사실적 이해력, 추론적 이해력, 종합적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들이 고르게 출제됐다"고 말했다.
변별력 확보 문제로 21번(함축의미 추론), 34번(빈칸 추론), 37번(글의 순서), 39번(문장 삽입) 등을 꼽았다.
EBS 전체 문항 연계율은 55.6%로 총 25문항이 연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