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산=국제뉴스) 백승일 기자 = 충남 서산시가 전국 풀뿌리지역언론연대(바른지역언론연대, 이하 바지연)의 행정 정보공개 요청에 대해 '비공개' 결정을 내리면서, 불투명한 행정광고 집행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서산시 공보담당관이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행정광고비 정보공개 요구에 대해 언론의 순수한 감시 기능 외 다른 동기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바지연은 지난 3일,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광고비 집행이 명확한 기준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서산시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행정광고 집행 기준에 대한 정보 공개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5일, 서산시청 공보담당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보공개 요구의 배경에 알 권리라는 명분과 함께 언론사들의 경제적 동기가 고려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포문을 열었다. 그는 "행정기관 광고가 언론사의 주요 수입원인 점을 언급하며, 정보공개 요구가 투명성 확보라는 긍정적 측면과 더불어 광고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고 유리한 배분을 받고자 하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보담당관은 "언론 자유라는 가치를 내세우며 정부 광고를 당연한 권리로 여기고 더 많은 광고비를 요구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감시 역할 이면에 숨겨진 영향력 행사의 가능성도 제기하며 "광고비 지급 내역에 대한 심층적인 취재 과정에서 문제점이 부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정부나 공공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밝혔다. 더불어 "겉으로는 공정 보도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광고 집행을 유도하려는 압력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고 덧붙였다.
공보담당관은 언론 스스로의 경영 투명성 확보 노력이 미흡한 채 행정광고비 문제에만 비판적인 목소리를 높이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국민의 알 권리나 공공이익이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문 기자들의 광고비 정보공개 요구는 언론의 감시 기능이라는 본질적인 역할 외에 다른 고려 사항이 있을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며 "때로는 언론사의 이해관계가 개입되어 정보 공개 요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공보담당관은 "서산지역 언론인 대다수가 언론 본분에 충실히 진실을 전달하고 지역 사회 소통 창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감사를 표하면서도, 일부 기자들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잃고 개인적 이익과 사리사욕에 치우치는 모습은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서산시 공보팀장은 댓글을 통해 "겉으로는 언론의 순기능을 내세우지만 이면에는 스스로 그것을 부정하는 행태를 보여주고 있는 모순된 언론관을 가지고 있는 극히 일부가 물을 흐리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게 들린다"고 동조하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B 언론사 C 기자는 "행정광고비는 시민의 세금으로 집행되는 예산이다. 따라서 어떤 기준과 원칙에 따라 특정 언론사에 광고를 배정하는지는 시민들이 마땅히 알아야 할 정보다"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산시가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이 기준을 비공개하는 것은 행정의 투명성을 스스로 저해하는 것은 물론, 특정 언론사에 대한 특혜나 비판 언론에 대한 불이익을 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자초하는 행위라는 비판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D 언론사 E 기자는 "서산시를 출입하는 행정기관이 광고로 언론사를 길들이려 해서는 안 된다. 동시에, 언론사 역시 스스로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언론의 공적인 기능은 등한시하거나 내팽개친 채 광고만 요구하는 것은 농부가 땀흘리지 않고 좋은 수확을 기대하는 것과 다르지 않으며, 현재 행정기관 광고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는 악용될 소지가 충분하다"고 언급하며 서산시 공보담당관의 의견에 일부 동의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겼다.
서산시민 F 씨는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국정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따라서 공공기관은 원칙적으로 국민의 정보공개 청구에 따라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공개하면 될 것을 가지고 뭐가 무서워 논란을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산시의 행정광고비 정보공개 거부 결정과 이에 대한 공보담당관의 의혹 제기가 맞물리면서, 행정의 투명성과 언론의 역할 및 윤리에 대한 논란이 지역 사회 내에서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