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바우처는 기후재난 시대의 생존권… 상담노동자 처우 반드시 개선”

[ 에너지데일리 ] / 기사승인 : 2025-10-27 17:38:00 기사원문
  • -
  • +
  • 인쇄






[에너지데일리 변국영 기자] “에너지바우처는 단순한 요금 감면이 아닌 생존권과 환경권의 문제다. 상담노동자의 감정노동 문제까지 제도적으로 개선하겠다”



서왕진 의원(조국혁신당 원내대표)은 27일 ‘에너지바우처 통합상담센터’를 방문해 현장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기후취약계층의 에너지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상담노동자 처우 개선 방안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서 의원은 이날 오후 2시 30분,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바우처 통합상담센터를 찾아 제도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일선 상담사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기후재난이 일상화된 현실에서 노인·장애인·영유아·저소득층 등 기후취약계층은 냉·난방비 부담으로 인한 피해를 가장 먼저, 가장 크게 받는다. 정부는 현재 약 130만 명을 대상으로 에너지바우처를 지원하고 있지만, 신청주의 원칙과 복잡한 절차, 정보 접근성 부족 등으로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와 상담센터 실무자들이 참석해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공유했다. 한영배 에너지공단 지역이사는 “에너지바우처는 국민 생활과 가장 밀접한 복지정책 중 하나로, 더 쉽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상우 상담센터 본부장은 “상담사들은 정책 최전선에서 국민을 직접 마주하는 사람들로, 국가정책을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국회 차원의 제도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상담사는 “이용자 중에는 의사소통이 어려운 분이 많아 한 통화에 30분 이상 걸릴 때도 있다”며 “감정노동이 크지만 정책 확산에 기여한다는 사명감으로 일하고 있다”고 현장의 어려움을 전했다.



이에 대해 서왕진 의원은 “에너지바우처는 기후위기 시대의 생존 복지이자 국가의 책무”라며 “오늘 들은 현장 의견을 입법과 예산으로 반영하고, 상담노동자의 근무환경 개선을 포함한 제도 전반의 개선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13일 출범한 조국혁신당의 민생 기획 활동인 ‘민생기병대–격차·불평등 Zero’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서 의원은 앞으로도 현장과의 지속적 소통을 통해 에너지복지 강화, 사각지대 해소, 상담노동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