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은에 따르면 전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3.00%로 동결했다. 이에 따라 한·미 금리차는 1.5%포인트로 유지됐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4년 5개월 만에 금리 인하에 나선 후 11월에도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경기 하강 우려에도 고환율이 추가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았다. 트럼프 신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정국 불안에 환율은 1400원대 후반까지 올라왔다. 추가 금리 인하는 원·달러는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나 봤던 1500원대로 급등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높다는 점에서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에 서두를 것으로 본다. 한은은 소비 등 내수 경기가 하락에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0.2%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은이 전망한 4분기 성장률 추정치는 0.5%다.
이 총재 역시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서 경기 부양에 나설 것도 시사했다. 그는 간담회에서 "금리 인하 사이클에 2번이나 인하를 했고, 3개월 금리 전망을 통해서도 인하가 계속될 것을 얘기했다" 면서 "인하 사이클이 당분간 지속되는 와중 조정 시기를 조절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하며 전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장대비 4.9bp 떨어진 2.626%에 장을 마쳤다. 2년물과 5년물은 각각 4.9bp, 5.1bp 내린 2.678%와 2.723%를 기록했다. 10년물과 20년물도 각각 5.8bp, 1.9bp 하락했다.
추가 인하 시점으로 전문가들은 2월을 지목한다. 한은이 경기 하강과 고환율의 원인으로 정국 불안을 짚고 있다는 점에서다. 트럼프 신정부의 정책과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다소 있지만, 국내 정국 불안은 2월이면 어느 정도 잦아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가 간담회에서 "트럼프 정부가 시작하면 불확실성도 많이 가라앉을 것"이라면서 "정치 갈등이 어느 정도 자리잡으면 미국 통화정책과 독립적으로 인하기를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도 2월 동결설에 힘을 싣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향후 3개월 내 금리 수준을 언급하는 한국판 포워드가이던스에서는 위원 6명 전원이 현대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점에서도 금리 인하가 머지 않았다고 읽힌다. 3개월 내 금리 결정은 2월과 4월에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