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서산 대하게국지·벌교 꼬막회무침·인천 주꾸미 샤브샤브 등 소개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1-06 17:31:59 기사원문
  • -
  • +
  • 인쇄
한국인의 밥상 (사진=KBS1)
한국인의 밥상 (사진=KBS1)

6일 방송되는 KBS 1TV '한국인의 밥상'은 “찬바람을 기다렸다!” 가을 보물의 귀환 편으로 꾸며진다.

만물이 풍요로워지는 계절, 가을. 찬바람과 함께 찾아온 가을 바다의 맛!

평생을 바다에 기대어 사는 사람들과 아낌없이 내어주는 바다 어민들만이 맛볼 수 있는 특별한 밥상을 만나러 간다.

가을은 모두가 풍요로워지는 계절이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자연의 선물을 누구보다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평생을 바다와 함께 살아가는 어민들이다.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바닷속 생명들은 살이 오르고, 어민들의 손끝도 바빠진다. 서해로 거슬러 올라오는 대하, 여름내 성장해 살이 오르기 시작하는 햇주꾸미, 가을 갯벌에 찾아온 참꼬막까지. 일 년을 기다려 만난 수확물들은 가을 바다가 내어주는 진미이자, 어민들의 땀과 기다림이 빚은 결실이다. 가을 바다는 단순히 제철의 풍요를 품은 공간이 아니다. 어민들에게 바다는 사람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법을 일깨워주는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바다가 내어주는 대로 겸허히 자연을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어민들의 밥상에는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찬 바람이 내려앉은 가을 바다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어부들의 밥상을 통해 ‘가을의 진짜 맛’을 전한다.

■ 가을 바다의 왕, 대하가 돌아왔다 – 충청남도 서산군 안면읍

충청남도 서산군 안면읍, 별빛조차 보이지 않는 어둠을 헤치며 바다로 향하는 배들이 있다. 35년 경력의 베테랑 어부 김형봉 씨(58)의 하루는 새벽보다 먼저 시작된다. 대하잡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가을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렸다는 김형봉 씨, 쏟아지는 비바람을 뚫고 던진 그물에 은빛 대하가 걸려들려 때마다 어부들의 환호성이 터져 나온다. 밤샘 조업을 마친 후 배 위에서 먹는 첫 끼니, 갓 잡은 대하를 아낌없이 넣은 ‘대하라면’이다. 오직 바다 위에서만 맛볼 수 있는 호사스러운 라면이다. 조업을 마친 배들이 백사장항으로 들어오면 이제는 상인들의 시간이 시작된다. 가을 바다가 건넨 보물들이 항구 가득 쏟아진다. 꽃게, 갈치, 간자미… 그중에서도 단연 가을의 왕이라 불리는 것은 살이 오를 대로 오른 ‘대하’다. 일 년에 딱 한 번 이 계절에만 먹을 수 있다는 대하회, 쫄깃하면서도 달큰한 그 맛을 잊지 못해 미식가들은 1년 내내 가을을 기다린다. 날로 먹어도 맛있지만, 안면도 어민들이 즐기는 또 다른 대하 음식이 있으니 시원한 무와 대하를 넣고 끓여낸 ‘대하 맑은탕’, 얼갈이 배추김치에 대하와 꽃게 듬뿍 넣어 끓여낸 ‘대하 게국지’, 그리고 내장이 듬뿍 들어있는 대하 머리와 속살을 튀겨 매콤달콤한 소스로 버무린 ‘대하 탕수’까지 어부들의 땀과 기다림, 그리고 자연이 빚어낸 진수성찬이 차려진다. 갈수록 짧아지는 가을이 아쉬워지는 ‘가을 대하’의 맛과 만나본다.

■ 갯벌에도 닿은 가을 찬 바람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의 정암마을 사람들은 찬바람이 불기를 봄부터 기다려왔다. 가을 갯벌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들판이기 때문이다. 돌게, 칠게, 짱뚱어 등 갯벌에서 나는 것들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을 갯벌의 진짜 주인공은 따로 있다. 바로 꼬막이다. 육지로부터 1km가 넘는 갯벌에 살고 있는 참꼬막은 어민들이 직접 뻘배를 타고 나아가 캐야 한다. 여자만은 점토질로 이뤄진 갯벌이라 뻘배를 타지 않고서는 한 걸음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꼬막을 캐지 않고 살아온 이가 없다는 벌교 사람들, 꼬막은 벌교 사람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꼬막을 캐서 자식을 키우고 살림을 일궜으며, 먹을 게 없던 보릿고개 시절에는 꼬막 덕분에 굶주림을 면할 수 있었다. 꼬막 철이면 집집마다 꼬막 삶는 냄새가 담장을 넘었다는 벌교 정암마을. 꼬막이 나는 철이면 가장 먼저 밥상에 올랐다는 ‘꼬막 회무침’ 제사상에 빠지지 올랐다는 꼬막전, 그리고 된장 하나만 풀어 끓여낸 꼬막장국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꼬막 전골’ 그리고 아이들의 간식으로 안성맞춤이라는 ‘꼬막 볶음밥 피자’까지 벌교의 밥상에서 꼬막은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갯벌에서 참꼬막이 자취를 감추고 시작하면서, 꼬막을 캐는 사람들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데....참꼬막이 돌아오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벌교 정암마을 사람들을 만나본다.

■ 초보 귀어 부부의 바다 생활 - 인천광역시 중구 덕교동

인천광역시 중구 덕교동, 어르신들만 사는 어촌마을에 귀어한 젊은 부부가 있다. 정의창 씨(38세)와 송나경 씨(35세) 부부가 그 주인공이다. 의창 씨 부부는 낚시 동호회에서 만나 결혼했을 정도로 바다를 좋아한다는데, 이왕 돈을 벌거면 좋아하는 바다에서 벌어보자는 마음으로 2년 전 귀촌을 했다. 아직은 낯선 어촌살이지만, 살뜰히 챙겨주는 마을 어르신들이 있어 든든하다는 의창 씨 부부, 가을에 잡은 햇주꾸미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다는데, 평생을 어부로 살아온 어르신들과 함께 차린 영종도의 가을 밥상! 이제 막 알이 차기 시작한 꽃게에 된장을 풀어 끓여낸 ‘꽃게 칼국수’. 연하고 부드러운 햇주꾸미를 넣어 끓인 ‘주꾸미 샤브샤브’, 그리고 마을의 막내 나경 씨가 한껏 솜씨를 부린 ‘주꾸미 삼겹살볶음’ 까지 음식 하나하나에 이웃 간의 정이 넘쳐난다. 귀촌을 한 후 더불어 살아간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사람 사는 맛이 무엇인지를 깨달았다는 정의창 씨, 송나경 씨 부부, 그들이 차린 따뜻한 가을 밥상을 만나본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