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취약계층 사각지대 해소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6-23 11:37:24 기사원문
  • -
  • +
  • 인쇄
(사진=전북자치도청 제공)
(사진=전북자치도청 제공)

(전북=국제뉴스) 김종빈 기자 = 취약계층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안전망 강화와 전달체계에 대한 전면적 개선에 나선 전북자치도의 복지 정책이 과연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본보 5월22일 관련)

전북자치도 자료에 따르면 2025년 4월말 현재 9만8,457세대 13만6,405명이 복지 관리 대상자로 분리되어 전북 인구대비 7.8%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게되었다. 특히 복지 관리 대상자가 2021년에는 12만5,438명, 2022년도는 12만8,522명, 2023년도는 13만1,557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4년 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1만3,198명 중지되어 복지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전북자치도는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기초생활보장 급여 중지된 대상자를 매년 전수조사를 철저히 실시하는 등 복지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개선하고 지원이 누락된 취약계층을 위해 복지전산망을 점검하고 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개선을 추진 할 계획이다.

특히 '소득 및 재산기준이 초과되어 자격이 중지된 1만3,198명을 우선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사각지대 해소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전수조사결과 위기 관리로 판단될 경우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전북형 기초생활보장 등 공적지원과 푸드뱅크(29개소), 복지관(59개소), 사회서비스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민간자원을 최대한 활용적극 지원 해 나갈 예정이다.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강화 일환으로 한국전력공사, 도시가스 사업자 등 21개 기관에서 47종의 정보를 받아 2개월 간격으로 시.군 담당자에게 위기가구를 알려 확인하는 등 기존 공공기관 빅데이터 기반으로 발굴한 가구에 수급 중지자를 더하여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적극적인 행정으로 복지서비스 확대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외에도 복지사가지대 해결을 위해 소득자 실직으로 소득상실, 중병 등 위기사유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 지원을 확대해 위기가구에 대한 신속한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전북자치도에서 실시하는 강화된 복지제도가 사각지대에 감추어진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구호에만 그치지 않도록 철저한 실행이 앞서야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 kjb13@daum.net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