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고리원전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

[ 에너지데일리 ] / 기사승인 : 2025-10-23 16:12:00 기사원문
  • -
  • +
  • 인쇄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전 2호기 모습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전 2호기 모습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는 23일 개최된 제223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사고관리계획서를 심의·승인했다고 밝혔다.



사고관리계획서는 중대사고를 포함한 원전 사고 발생 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사고의 영향을 완화해 안전한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전략, 이행 체계 및 설비 등 제반 조치를 규정한 문서를 의미한다.



사고관리계획서는 ‘원자력안전법’이 개정되면서 2016년 6월 운영허가 서류로 추가됐고, 이미 운영허가를 받아 가동중인 고리 2호기의 사고관리계획서는 개정 원안법 부칙 제3조에 따라 2019년 6월 제출됐다.



이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가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에 대해 이동형 설비를 활용한 중대사고 완화전략과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를 통한 중대사고 관리능력 향상 방안에 대해 중점 심사했고, 사고관리전략 및 이행 체계 등을 포함한 고리 2호기의 사고관리계획서가 허가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했다.



또한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는 약 6개월간의 사전 검토를 통해 KINS의 심사결과가 적절함을 확인했다고 원안위는 밝혔다.



그리고 원안위는 지난 제222회 원자력안전위원회(2025년 9월25일)에 이은 논의를 거쳐 이날 제223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가 ‘원자력안전법’ 제21조제1항제6호에서 규정한 허가기준에 만족함을 확인하고 승인했다.



고리 2호기는 중대사고 대처설비가 설계단계부터 상당히 반영된 APR1400 신형원전(2025년 1월9일, 제206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사고관리계획서 승인)과 다른 설계특성을 고려해 격납건물 대체살수를 위한 외부주입 유로 신설 등 중대사고 완화설비를 설계에 새로 반영했다.



고리 2호기의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한수원은 이동형 설비 현장적용을 위한 설계변경 등의 현장조치를 완료하고 사고대응계획의 유효성을 유지하기 위한 훈련을 2년 주기로 실시해야 한다. 원안위는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받은 대로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최원호 위원장은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으로 신규원전과 동등한 수준의 사고관리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라면서 “아직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되지 않은 원전에 대해서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심의해 사고관리계획서를 조속히 현장에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