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604명에게 ‘귀사의 회의 문화는 어떤가요?’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회사에서 평균적으로 회의를 하는 빈도수를 물었다. 가장 많은 응답으로 ▲평균 주 1회가 26.3%로 나타났다. 뒤이어 ▲평균 월 1회 또는 미만(22.2%), ▲평균 월 2~3회(21.9%), ▲평균 주 2~3회(19.7%)로 조사됐다. ▲평균 주 4~5회 이상 회의를 한다는 응답도 9.9%에 달했다.
이를 기업 규모별로 교차 분석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평균 주 2~3회(대기업 33.3%, 중견기업 26.9%)가 가장 많았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은 ▲평균 주 1회(공기업 및 공공기관 30.9%, 중소기업 25.7%)로 가장 많았다.
회의 한 번의 평균 소요 시간도 물었다. ▲평균 30분~1시간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평균 30분 미만(26.7%), ▲평균 1~2시간 미만(24.3%)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회의 시간에 주도해서 발언하는지도 물었다. 47.4%의 응답자가 ▲아니다(아니다 37.3%, 매우 아니다 10.1%) 라고 답했다. 반면 ▲그렇다는 답변은 38.7%로 집계됐다. (▲그렇다 30.8%, ▲매우 그렇다 7.9%)
이를 직급별로 나눠서 분석했다. 사원(60.6%), 대리(55.0%), 과장(47.1%)의 경우 ▲아니다(아니다, 매우 아니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직급이 높아질수록 회의에서 주도해서 발언한다는 비율이 높아졌다. 차장(49.1%), 부장(56.1%), 임원(77.6%)의 경우 ▲그렇다(그렇다, 매우 그렇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직장인 회의 문화’ 설문 조사 [제공: 인크루트]](https://www.casenews.co.kr/news/photo/202509/18587_40440_1634.png)
응답자들에게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는지’ 물었다. 56.0%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이를 직급별로 분석해 봤다.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직급은 ▲대리로 70%가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뒤이어 ▲과장 62.4%, ▲부장 59.8%, ▲임원 55.2%, ▲차장 50.9%가 회의 시간에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원급의 경우 46.9%가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답변해 직급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에게 어떤 종류의 딴짓을 했는지 물었다(복수 응답). 가장 많은 응답으로는 ▲다른 생각하기(멍때리기, 공상하기 등)가 61.5%로 나왔다. 또 ▲다른 업무하기 34.9%, ▲동료 또는 친구와 메신저하기 27.5%, ▲웹 서핑하기 21.3%로 나왔다.
또 응답자들에게 회의가 효율적인지도 물었다. 전체 응답자의 38.1%는 효율적(▲매우 그렇다 5.1%, ▲그렇다 32.9%)이라고 생각했다. 뒤이어 ▲잘 모르겠다(31.8%), ▲아니다(20.5%), ▲매우 아니다(9.6%) 순으로 집계됐다.
회의가 비효율적(▲매우 아니다 9.6%, ▲아니다 20.5%)이라고 응답한 답변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복수 응답). ▲’의견 상관없이 이미 결론이 정해져 있어서’가 56.0%로 다수로 나타났다. 이밖에 ▲회의의 목적이나 결론이 없어서(52.7%), ▲회의하지 않아도 해결할 수 있는 안건이어서(34.1%), ▲회의 준비부터 진행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해서(21.4%) 등이 비효율적인 이유로 꼽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8월 27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77%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