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그래픽=황민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0/8250_15014_1050.jpg)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지난 3일 직원이 추락해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이에 노조는 “현대차는 법 뒤에 숨지 말고 원청의 책임을 다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10일 오전 10시 30분 고용노동부 전주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자동차는 원청의 안전관리 책임을 다하고 노동부는 사고의 근본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현대차 전주공장 트럭 도장 1공장 2층에서 덕트 설비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하청 직원 한 명이 약 5.6미터 개구부 아래로 추락해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노조는 공장 2층에서 덕트 설비를 철거하기 위해 고소 작업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구부를 덮고 있던 판넬이 이동에 방해되자 재해 직원이 판넬을 들어 올리던 중 중심을 잃고 개구부 아래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개구부에는 안전 난간이나 울타리, 수직형 추락 방호망 또는 뒤집힐 염려가 없도록 덮개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노조는 사고 당시 직원이 추락한 개구부에는 접근금지 라인 등 안전조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번 사고의 근본 원인은 다단계 하청 구조 속에서 직원의 안전대책이 현대차에서 하청으로 다시 재하청으로 떠넘겨지는 데 있다”며 “현대차는 발주자임을 내세우며 법 뒤로 숨고 하청은 실질적 지배자가 아니라며 현대차를 핑계 대는 와중에 직원들은 매일 죽어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현대차가 사망 직원 소속 회사와 맺은 계약에 따르면 협력사는 현대차의 승인 없이 제3자에게 하도급할 수 없다”며 “협력사는 작업 중 재해의 미연 방지를 위해 안전보건관리자를 선임해야 하고 산안법에 의한 제반 책임을 지고 현대차의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되어있다”고 성토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10일 10시 30분 고용노동부 전주지청 앞에서 현대차 전주공장 추락사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전국금속노동조합 제공]](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0/8250_15015_125.jpg)
아울러 “즉 현대차는 하청업체들의 안전보건관리 역량을 평가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현대차는 하청업체들이 자사의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준수하도록 강제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차가 공사현장을 실질적으로 지배, 개입하고 있다는 증거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9월 국무회의에서 “충분히 예측되는 뻔한 추락사고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에 가깝다”라며 엄벌을 지시한 바 있다. 또한 노동부 김영훈 장관은 명함에 ‘떨어지면 죽는다’라는 문구를 넣겠다며 중대재해 예방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노조는 “하지만 정부의 말과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며 “직원들의 죽음을 알리는 뉴스가 하루도 들리지 않는 날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노조는 현대차에 책임과 사과, 원인 조사 및 책임자 징계, 안전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더불어 노동부에 근본적 사고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이영진 기자 hoback@tleav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