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서울 한정’ 한계 넘는다…수도권 전역·광역철도 통합 제안

[ 에너지데일리 ] / 기사승인 : 2025-08-14 19:50:00 기사원문
  • -
  • +
  • 인쇄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서울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의 서비스 범위를 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하고, GTX·SRT·공항철도 등 광역·고속철도와의 통합 요금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단순한 교통비 절감 수단을 넘어 탄소저감을 위한 교통 패러다임 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14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실에서 박주민 의원실과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주최로 열린 ‘기후동행카드의 한계와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강진동 스튜디오갈릴레이 부사장은 “서울시의 독자 정책 시행으로 서비스 범위가 한정돼 경기·인천권 통행 시 광역연계 효과가 없다”며 “지역 간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한 통합 교통카드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유자전거 ‘따릉이’ 등에 한정돼 사용 가능하다. 요금은 전철+버스 30일권 6만2천원(청년 5만5천원), 전철+버스+따릉이 30일권 6만5천원(청년 5만8천원)이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에서 신분당선 구간으로 넘어가거나 인천·경기 지역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카드를 쓸 수 없어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강 부사장은 개선 방안으로 ▲수도권 전역 사용 확대 ▲GTX·공항철도·SRT·ITX 등 광역·고속철도 통합 요금제 ▲공유 자전거·킥보드 등 스마트 모빌리티 연계 ▲할인형·가족형 등 다양한 요금제 도입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에 따른 탄소저감 인센티브 부여 등을 제안했다.



김상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센터장은 독일 전역에서 지하철·전철·철도·버스 등 모든 대중교통을 사용할 수 있는 ‘D-티켓’ 사례를 언급하며 “도입 후 자동차 이용이 줄고 철도 이용이 늘어 연간 약 650만 톤의 탄소 배출이 줄었다”며 “우리도 교통수단의 단순 정기권을 넘어 교통 전환과 탄소저감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태환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소득·연령 조건과 관계없이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동일한 지원을 제공하는 국가 차원의 사업화를 검토해야 한다”며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서민 교통비 부담 완화 모델로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