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안=국제뉴스) 백승일 기자 = 최근 충남 태안에서 음식점 업주들을 노린 보이스피싱이 잇따르면서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다. ‘군 관계자’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대량 음식과 고급 주류를 예약하고는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일명 ‘노쇼 피싱’이 기승을 부리자, 태안군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태안군은 19일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지역 전통시장과 상점 등을 중심으로 홍보용 부채 1,000개를 배포하고, 읍·면 주요 지점 8곳에 현수막 50매를 설치했다”며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피해액만 4억 원…기관 사칭 피해 계속돼"
태안군에 따르면, 태안군 내 보이스피싱 피해는 매년 꾸준히 발생해 △2022년: 15건(대출사기 12, 기관사칭 3) → 피해액 약 2억 원 △2023년: 13건(대출사기 7, 기관사칭 6) → 피해액 약 4억 3,500만 원 △2024년(5월 말 기준): 15건(대출사기 11, 기관사칭 4) → 피해액 약 4억 2,719만 원
올해 들어 특히 공공기관이나 군부대를 사칭한 피해가 두드러지고 있다. 업주들에게 수십 명 분의 음식을 예약시키고, “별도 고급 술은 본인 부담으로 준비해 달라”고 요청한 뒤 잠적하는 수법이 주를 이룬다.
지난달에는 태안읍 한 식당에서 태안군청 공무원이 우연히 업주가 받은 ‘군부대 사칭 문자’와 위조 공문을 확인해 피해를 막는 일도 있었다.
부채 나눠주며 “예약 전에 꼭 확인하세요”
태안군은 현재 지역 전통시장 3곳을 중심으로 상인회와 소상공인연합회, 소비자 보호센터 등과 손잡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예약 문자, 고급 주류 구매 요청, 공문 전달” 등이 의심되는 상황일 경우 즉시 확인 전화를 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음식 대량 주문 예약이나 고급 주류 요구가 있을 땐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며 “조금이라도 이상한 낌새가 있다면 경찰(112), 금융감독원(1332), 태안군 소비자 보호센터로 바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소상공인을 노린 범죄가 진화하는 만큼, 행정의 대응 방식도 보다 정교해져야 한다. ‘예약 취소’로 끝나지 않는 피해를 막기 위한 지역 사회의 공조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