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광명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징후에도 작업 강행

[ MHN스포츠 ] / 기사승인 : 2025-04-15 20:49:16 기사원문
  • -
  • +
  • 인쇄






(MHN 이종헌 인턴 기자 / 주진노 기자) 광명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가 안전관리 시스템 미흡과 경영적 압박이 결합된 결과가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이던 터널과 상부 도로가 붕괴했다.



당시 현장에는 19명의 근로자가 있었고, 그 중 2명이 고립됐다. 20대 굴착기 기사는 13시간 만에 구조됐으나, 50대 포스코이앤씨 소속 노동자는 여전히 실종 상태로, 구조대는 토사와 잔해, 추가 붕괴 위험 등으로 수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고는 기둥 보강을 위한 H빔을 지하로 내리던 중 발생했다. 전날 밤 9시 50분에 터널 중앙 기둥의 심각한 파손이 발견되었고, 작업이 중단됐으나, 다음 날 보강 작업을 재개하는 과정에서 붕괴가 일어났다.



CCTV에는 사고 전날 기둥이 휘는 등 붕괴 징조가 포착되었으나, 작업자들이 다시 투입된 사실이 확인됐다.









사고 전날부터 기둥 파손, 이상음 등 명확한 경고 신호가 있었음에도 무리하게 작업이 재개된 것은 시스템적 허점과 현장 관리 실패를 드러낸다.



포스코이앤씨 경영진은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이라고 반복적으로 강조해왔으나, 최근 실적 중심 경영 분위기 하에 실제 현장에서는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 압박이 안전보다 우선시되는 조직문화가 고착된 실적 중심 경영의 압박이 사고의 원인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최근 포스코이앤씨는 실적 개선에 집중하며, 2분기 영업이익률이 전분기 대비 32% 증가하는 등 경영 성과를 내고 있으나 이런 실적 중심 경영의 실적 압박이 현장에 전가되며, 일정 지연을 만회하기 위해 안전이 후순위로 밀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신안산선 사업은 포스코이앤씨의 핵심 사업으로, 총도급액 4조2784억원에 달하며, 당초 2025년 4월 개통 목표였으나 공사 지연으로 2026년 12월 이후로 연기됐다.









하도급-협력업체와의 안전관리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전예방을 위해선 근로자 교육도 중요하다. 이에 포스코이앤씨는 VR 실습, 안전 아카데미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안전 매뉴얼 미준수, 위험 신호 무시, 하도급 근로자에 대한 실질적 교육 부족 등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냐며 개선 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도급-협력업체와의 안전관리 연계가 미흡하고, 위험 작업이 하청으로 전가되는 구조적 한계 또한 반복된 사고의 원인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교육과 매뉴얼이 형식적으로만 이행되고, 위험작업 거부권 등 제도가 마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첨단기술의 실효성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포스코이엔씨 공사현장은 2022~2024년 5명, 2025년 들어서만 6명의 근로자가 사망하는 등 중대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이번 사고 역시, 기술적-제도적 안전관리 시스템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근로자 생명을 지키는 데 안전 가이드망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고로 인해 포스코이앤씨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반복적인 사고가 발생하며, 안전관리 체계의 근본적 재검토와 경영진의 법적 책임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감사원 등 감독기관은 수차례 지반 불안정성, 붕괴 위험을 경고했으나, 현장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사고 경위, 부실 공사, 안전관리 미흡 등에 대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선언적 안전경영이 아닌 실질적 안전문화의 정착, 경영성과와 안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진 = 연합뉴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