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2월24일부터 3월31일까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운영을 추가 확대하고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으로 연간 8억 2천만 원을 절감하며 거스름돈 환전에 따른 사고 위험과 운행 지연 예방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오는 4월1일부터 버스 내 현금함을 철거하고 교통카드로만 요금을 지불하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전면 시행되며, 전면 시행 전, 시범운영을 2월24일부터 3월31일까지 77개 노선 1,034대 규모로 추가 확대 운영한다."고 전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부터 1차 5개 노선 98대, 2차 40개 노선 583대에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7개월간 시범 운영한 결과, 대구시 전체 시내버스 이용객의 교통카드 미사용 및 현금 사용 비율이 1.4%에서 0.8%로 현저히 감소해 대부분의 승객이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국 최초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 보급과 대상 연령층의 점진적인 확대로 고령층에서도 ‘현금 없는 시내버스’에 큰 불편을 못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대구시는 "이를 바탕으로 오는 4월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하기로 결정했으며 아울러 2월24일 시내버스 노선개편에 맞춰 시범운영 대수를 40개 노선 583대에서 77개 노선 1,034대로 대폭 확대하며, 이는 대구시 시내버스 운행 대수의 66%에 해당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구시는 " ‘현금 없는 시내버스’ 운행은 거스름돈 환전에 따른 사고 위험과 운행 지연을 예방하고, 현금수입금 관리에 필요한 비용(연간 8.2억 원) 절감이 가능하며 아울러, 시민들은 교통카드 사용을 통한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교통카드 미소지 승객은 버스 내 요금납부안내서를 배부받아 계좌이체 하거나, 정류장에 부착된 QR코드로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아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paekti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