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글로벌 탄소규제 강화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 속에서 경북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해법을 찾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를 수행한 한국산업관계연구원은 수소환원제철이 국가 차원의 대규모 R&D와 민간 기업의 막대한 설비투자가 필요한 기술로 지자체 단독 추진에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포항·경주·영천·구미로 이어지는 금속 소재 산업벨트와 울진 원자력발전소, 동해안 풍력 등 경북의 에너지 인프라는 수소환원제철 전환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강점으로 꼽혔다.
수소환원제철은 기존 고로 방식 대비 탄소배출을 95% 이상 줄일 수 있어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의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위한 포스코 내 부지 확보,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에너지 공급 인프라 확충, 규제 완화, 국민 인식 개선 등 현실적 과제가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이칠구 대표의원은 “수소환원제철은 경북 철강산업의 생존전략이자 국가 경쟁력의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연구는 경북의 대응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산업의 대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도의회 차원의 지원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이칠구 대표의원을 비롯해 동해안 지역구 의원 6명으로 구성돼 철강·에너지 산업 구조 전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회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례 제정,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 마련 등 경북형 저탄소 철강생산기지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