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지난 3월 경북을 덮친 초대형 산불로 인해 산림뿐 아니라 사찰·고택·국가민속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큰 피해를 입은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추진됐다.
연구진은 산불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는 동시에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전략 마련을 목표로 소방·산림·문화유산 3개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책임연구원 권두현 박사는 ▲AI 기반 산불 조기 탐지·예측 시스템 도입, ▲드론 등 첨단 장비 현대화, ▲산불 피해지역 생태계 복원체계 강화, ▲기후변화 대응형 산림조성, ▲문화유산별 산불 위험도 평가와 맞춤형 보호대책, ▲문화유산 복원·관리 체계 개선 등 구체적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실제 피해 사례를 기초로 문화유산 보호 대응력 강화 방안을 촘촘하게 담아냈다. 세계유산 하회마을과 봉정사 등 목조 문화유산이 밀집한 경북의 특성에 따라 ‘경북형 산불 대응 모델’ 구축의 필요성도 집중 제기됐다. 연구진은 현행 법령과 조례의 한계를 지적하며 ‘문화유산 보호 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대일 대표의원은 “경북은 대한민국 정신문화의 중심지이자 세계적 문화유산의 보고”라며 “초대형 산불로부터 산림과 문화유산을 지켜내기 위해 AI 기반 K-산불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경북의 산악지형과 목조건축 특성에 맞춘 대응체계 구축, 문화유산 이동·보관 기술의 제도화가 시급하다”며 연구결과가 실질적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협력을 요청했다.
한편 정책연구위원회는 김대일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용현, 남영숙, 박선하, 이철식, 최덕규 의원 등 6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해당 연구는 12월까지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도의회는 이번 연구용역이 경북의 산불 대응체계 강화와 문화유산 보호정책의 제도적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