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국제뉴스) 이운길 기자 = 오는 8월 1일 시행 예정인 광주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을 두고 시민 불편과 행정 졸속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 이자형 경기도의원(비례)과 황소제 광주시의원(다선거구)은 지난 22일 광주시 스마트교통과와 긴급 정담회를 갖고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이번 개편은 방세환 광주시장의 대표 공약이자 추자동 버스차고지 이전에 따른 사전 예고된 사안이었다. 그러나 사전에 충분한 시민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면서 교통 소외 지역 및 취약계층의 이동권 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버스 노선이 사라지거나 환승 없이 이동이 어려워진 지역이 생겨나면서 노인과 학생, 교통약자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민들은 그간 이용해오던 익숙한 노선이 급격히 변경된 데 따른 혼란을 호소하고 있다.
정담회에서는 17번, 17-1번, 660번 등 성남광주 간 주요 노선과 서울 무역센터광주터미널을 운행하는 G3202번 노선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 논의됐다. 이에 따라 노선 일부 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현장 중심의 보완책이 요구됐다.
이자형 도의원은 “오포 문형·추자·고산동 학생들의 중심권역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개편이 이루어졌다”며 광주시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소제 시의원 역시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버스노선 개편안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을)지역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수요응답형 똑버스’ 및 ‘학생순환 통학버스’ 도입 등 다양한 보완 방안을 제시하며 버스노선 개편의 면밀한 점검과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