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천호 의원은 2025년 국정감사에서 최근 6년간 전국 지역 농·축협에서 발생한 금융사고가 총 1,012억 원에 달한다고 밝히며, 감사 시스템의 무력화와 내부통제 붕괴를 강하게 질타했다.
서천호 의원이 밝힌 농협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264건. 이 중 251건이 횡령 사건으로 전체의 95%를 차지했고, 횡령 금액만 543억 원에 달했다.
회수된 금액은 484억 원에 불과해 절반 이상인 529억 원은 여전히 손실로 남아 있다.
문제는 감시 체계다.
지역 농협에는 상임·비상임 감사가 배치되어 있지만, 264건 중 자체 감사에 의해 적발된 사례는 단 30건뿐. 대부분은 중앙회 감사나 외부 민원 제보를 통해 드러났다.
감사 기능은 사실상 껍데기만 남은 셈이다.
적발까지 걸리는 시간도 심각하다.
횡령 사고의 평균 적발 기간은 721일, 약 2년. 시중은행 평균 6개월과 비교하면 감시 체계는 마비 수준이다.
올해 적발된 사례들은 구조적 허점을 그대로 보여준다.
대전의 한 농협 직원은 대출 업무를 맡으며 특정 감정평가법인을 지정해 감정가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139억 원 규모의 사고를 일으켰다.
이 중 73억 원은 회수되지 못해 해당 농협에 직접적인 손실을 남겼고, 해당 직원은 해직됐다.
전남 지역 원예농협에서는 농산물수출물류센터에 근무하던 직원이 10년간 파프리카 농가의 판매대금 5억 원을 수백 차례에 걸쳐 현금으로 빼돌린 사실이 드러나 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또 다른 사례로, 세무업무를 담당하던 지역농협 직원은 78회에 걸쳐 조합원 출자금과 고객 세금 총 3억 7천만 원을 자신의 모친과 배우자 계좌로 이체한 사실이 적발돼 해직됐으며, 역시 사법기관에 고발됐다.
서 의원은 “조합원 투표로 선출된 감사는 회계·금융 전문성이 부족하고, 적발 이후에도 은폐·축소가 작동하는 온정주의 구조”라며 “직원 개인의 일탈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범행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