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박종진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7일 본사에서 국내 산학연기관들과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과제 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은 지난 4월부터 산업계와 학계, 출연연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물관리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기술, 스마트관망 관리,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초순수, 해수담수화 등 9가지 과제에 대한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과제 참여형 공모’를 통해 선정된 기관과 체결됐다.
협약 기관은 총 17개 기관으로 각 과제에 따른 주관연구기관과 공동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해당 과제의 사업화 또는 기술이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17개 기관은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국립창원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지오소프트,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려대학교(세종), 서울대학교, ㈜로보스텍, ㈜씨제이케이, ㈜지엔에스엔지니어링, ㈜프라임텍인터내쇼날, 한국그린자원㈜, 한남대학교 등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실현 기조에 발맞추어 앞으로 4년간 총 1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개방형 혁신 연구에 투입하여 AI와 디지털 트윈 등 미래 물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최신 기술 연구에 속도를 더 할 계획이다.
개방형 연구는 기업과 학교, 연구기관 간 동반성장을 촉진하고, 학술적 성과가 물 산업 현장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결과의 사업화와 실용화를 성과 목표로 하는 산·학·연 공동 추진 과제로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에 참여하게 될 강석태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물관리 기술의 고도화뿐 아니라 AI 융합기술 개발을 통해 과학기술계의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문숙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부문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AI와 디지털트윈 등 첨단기술과 융합한 선제적 물관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 방안이 되고 있다”며 “물 안전 강화, 물 기술 혁신을 목표로 산·학·연 협업을 통한 실질적 연구성과가 AI 디지털 물관리 대전환의 마중물 역할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제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