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조선 '모-던인물史 미스터.리'가 오늘(15일) 밤 10시 30분, 한때 재계를 호령했지만 지금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재벌 회장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통해 한국 경제사를 흥미롭게 조명한다.
홍성추 재벌 평론가가 함께 출연하여 이들의 이야기에 깊이를 더할 예정이다.
이번 방송에서는 쌍용그룹 김석원, 신동아그룹 최순영,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이 세 사람은 모두 아버지에게 회사를 물려받아 초반에는 눈부신 성장을 이뤘으나, 결국 '몰락의 길'을 걸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쌍용그룹 김석원 전 회장: 정점에서 몰락까지 만 29세의 젊은 나이에 쌍용그룹 회장에 오른 김석원 전 회장은 시멘트 중심의 그룹을 중공업, 건설, 석유화학, 금융, 자동차 등으로 빠르게 확장시키며 1990년대 초반 쌍용을 재계 5~6위의 명실상부한 한국 대표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그러나 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후, 비자금 사건과 정경유착 의혹으로 정치에서도 물러나게 된다. 이후 외환위기와 쌍용차 매각 등의 이유로 그룹이 몰락의 길을 걷게 된 자세한 사연이 공개될 예정이다.
신동아그룹 최순영 전 회장: 63빌딩 신화의 비극적 결말 63빌딩을 세운 신동아그룹 최순영 전 회장 역시 외환위기 이후 운명의 변곡점을 맞았다.
1999년 그가 그룹 계열사를 통해 외화를 해외로 불법 반출한 혐의로 구속되면서 그룹 주력사가 국유화되고 신동아그룹이 급격히 해체되는 비극을 맞았다.
하지만 당시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건실한 기업이었기에 그룹 해체가 부당했다는 주장이 뒤따랐으며, 최 회장 측은 정치권의 압력에 따른 '정치 보복성 해체'였다고 주장하고 있어 기업 해체의 진실이 무엇인지 파헤친다.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 '재벌 길들이기 1호'의 사연 이뿐만 아니라 자신을 '재벌 길들이기 1호' 희생양이라며 억울함을 주장한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의 사연도 공개될 예정이다.
'모-던인물史 미스터.리'는 이처럼 한 시대를 풍미했던 재벌 회장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한국 사회와 경제에 남긴 흔적을 되짚어보며 시청자들에게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