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일본이 또다시 국제사회의 신뢰를 저버렸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이 제안한 ‘군함도 등재 약속 이행 점검안’이 일본의 반대로 무산되면서, 2015년 일본이 스스로 약속했던 조선인 강제노동 역사 설명 의무는 사실상 폐기 수순에 들어갔다.
이에 대해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9일 “스스로 했던 약속마저 노골적으로 깨뜨리는 일본의 행태에 분노를 참을 수 없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상징적 장소로, 일본은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강제노동의 역사를 설명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일본은 그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오히려 왜곡된 내용으로 채워진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군함도 현장이 아닌 도쿄에 설치하는 데 그쳤다.
유네스코는 2018년, 2021년, 2023년 세 차례에 걸쳐 일본에 약속 이행을 촉구했지만, 일본은 이를 무시해왔다.
이번에도 한국의 점검 제안은 표결 끝에 무산되며, 일본의 책임 회피는 반복되고 있다.
홍 대변인은 “국제사회와, 무엇보다 당사자인 우리 대한민국과 했던 약속을 이행은커녕 노골적으로 무시하고 깨뜨리는 일본의 파렴치한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이러면서 무슨 신뢰를, 무슨 미래를 논의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그는 불과 20일 전 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일본 총리가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 간 협력과 공조가 더 깊어지길 기대한다”고 발언한 점을 언급하며, “이런 식이라면 모두 다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일갈했다.
진보당은 일본 정부에 대해 약속 거부에 대한 공식 사과와 성실한 이행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홍 대변인은 “60주년 운운 이전에 단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며, “신뢰 없는 외교에는 미래도 없다”고 단언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외교적 갈등을 넘어,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반복적으로 저버리는 일본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외교는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증명되어야 하며, 과거를 직시하지 않는 일본의 태도는 동북아 평화와 협력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일본의 역사 왜곡과 책임 회피에 대해 단호하고 일관된 대응을 이어가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