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뉴스) 이병훈 기자 = 인천시가 과거 ‘부채도시’ 오명을 벗고 재정건전성을 갖춘 모범 광역지자체로 거듭나며 유정복 시장의 리더십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지난 2014년 민선 6기 첫 취임 당시 유정복 시장은 인천시가 안고 있던 13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 높은 재정개혁을 선언했다. “시정의 최우선 과제는 재정건전화” 기조하에 선심성 사업 구조조정, 투자심사 강화,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재정 체질을 근본부터 개선해 나갔다.
4년간의 임기 후반기인 민선 6기 말, 2014년 취임 당시 13조 원 수준이던 부채는 8조 2천억 원으로 감소했다. 민선 8기를 1년여 남긴 현재는 6조 원대 중반까지 줄어들며 10년간 약 7조 원 이상을 감축했다. 이로써 인천시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지자체 중 재정자립도(41.6%)가 두 번째로 높은 도시로 올라섰다.
시 관계자는 “정부 재정지원 없이 자체 역량으로 부채를 줄이고, 투자 여력을 확대한 지방정부는 매우 드물다”며 “이는 단기 성과가 아니라 인내와 구조조정, 혁신이 뒷받침된 장기적 재정 전략없이는 손에 잡을 수 없는 결과”임을 강조했다.
유정복 시장은 “재정이 튼튼해야 도시가 지속 가능하고, 시민의 삶도 안정된다”며 “앞으로도 빚내서 쓰는 재정운영은 단호히 거부하고, 시민세금은 반드시 가치 있는 곳에 쓰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의 재정 정상화는 단순히 ‘빚 갚기’에 그치지 않고 도시 전반의 대응 능력을 높이는 기초가 됐다. 실제로 인천시는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 참여와 기타 국제행사를 유치하고 공공인프라 확충과 미래산업 투자 확대, ESG 정책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미있는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
예산 효율화와 재정 투명성을 높여 보다 몸집이 단단해진 인천시는 중앙정부 재정지원사업에서도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비 확보 성과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이제는 채무를 털어낸 재정 자율성을 기반으로 인천의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시기"라며,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복지·기후대응 인프라 투자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시의 지난 10년은 숫자가 아닌 철학의 변화를 보여줬다. ‘빚부터 갚자’는 원칙, ‘시민을 위한 미래 재정’을 실현하는 정책구조. 인천이 이제 대한민국 대표 도시를 넘어 '글로벌 TOP 10' 도시로 도약할지에 대해 세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