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정경호 기자 = 전라북도의 핵심 미래차 기관인 자동차융합기술원(이하 기술원)의 차기 수장 인선이 장기화되면서, 지역 산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전북도의회가 오양섭 후보자에 대해 ‘부적합’ 의견을 채택함에 따라, 김관영 도지사의 결단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기술원은 전기차, 자율주행차, 수소차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연구개발 및 인증 업무를 전담하는 핵심 기관이다. 정부 공모사업 수주, 기업 유치, 실증 기반 확보 등에서 실행력이 중시되는 만큼, 공백 장기화는 지역 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치권과 산업계 안팎에서는 정권 전환기에 적합한 인물로, 정무적 판단보다 산업과 기술에 정통한 실무형 전문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도의회가 후보자의 정책 비전 및 전문성 부족을 이유로 부적합 결정을 내린 만큼, 단순한 인선 강행은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은 자리를 채우는 문제가 아니라, 산업 전환기에 걸맞은 리더십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기술원장은 단순한 연구책임자가 아니라 산업과 정책을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공모에 참여했던 후순위 후보자 중 실적과 현장 경험을 갖춘 인물에게 인사청문 기회를 재부여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도의회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술원의 조속한 리더십 회복을 가능하게 할 전략이라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실무형 원장의 조건으로 ▲산업부·국토부 등 관련 부처의 실무 경험자, ▲자동차 R&D 및 인증 실적 보유자,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 경험자를 꼽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만 아는 인물보다 정책·행정·산업을 연결할 수 있는 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원 수장 인선은 단순한 인사를 넘어 전북도의 미래 산업 전략과 직결된 핵심 사안이다. 김 지사가 산업적 실리와 도정 철학에 근거한 결정을 내릴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지역 산업의 신뢰 회복을 위해 조속한 리더십 정비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