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18일 국무회의를 거쳐 총 12조 2000억 원 규모의 2025년 추경예산안 중 5조 112억 원을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에 배정하고 국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은 통상 리스크 대응, 민생 회복 지원, AI 등 신기술 대응 등 3대 분야에 집중된다.
미국 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기업을 위해 1000억 원 규모의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이 신설되었으며, 수출 다변화와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해 각각 1000억 원과 5000억 원이 추가 지원된다. ‘수출바우처’ 사업에도 898억 원이 투입된다.
소상공인 지원책으로는 카드 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페이백’에 1조 3700억 원, 중·저신용 소상공인 대상 1000만 원 한도 ‘비즈플러스카드’ 발급 신설, 정책자금 5000억 원 추가 확대, 2조 원 규모 지역신용보증재단 보증 공급 확대 등이 포함됐다.
또한 폐업 소상공인 점포 철거 및 재기 지원에 494억 원이 추가 투입되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도 5개월간 진행된다.
AI 분야 중소기업 지원도 강화해 민간 투자 연계 R&D 프로그램 ‘스케일업 팁스’ 확대와 제조로봇, 공정자동화,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 지원에 나선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추경으로 미국 관세 조치, 산불 피해, 경기 침체 등으로 고통받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와 활력 회복에 적극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