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도의 대표 전통축제인 들불축제가 정체성 상실 논란에 다시 한 번 휩싸였다. 3년간 4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정상 개최조차 못 한 데다, 도민과 도의원 여론까지 등을 돌리면서 축제 운영 전반에 대한 재점검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44회 정례회 도정질문과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예산 심사에서 고태민 위원장은 들불축제가 "양두구육(羊頭狗肉)식 껍데기 축제로 전락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고 위원장은 "1997년 시작돼 제주의 대표 전통축제로 자리 잡은 들불축제가 최근 3년간 정상 개최되지 못했다"며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1억 원의 예산을 들였지만 불 한 번 피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6년에도 18억 원이 추가로 편성된 상황에서 실질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민 여론 역시 우호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숙의형 원탁회의에서는 축제 유지 의견이 가까스로 과반(50.8%)을 넘겼고, 올해 5월 도의원 대상 조사에서는 디지털 중심 전환 반대가 59.1%, 들불축제 명칭 폐지 찬성이 50%로 집계됐다. 고 위원장은 "도민 의견을 외면한 축제 운영은 설득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불놓기 금지를 둘러싼 법적 해석의 혼선도 도마에 올랐다.
고 위원장은 "새별오름은 산림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임야 외에는 없는 새별오름을 산림으로 간주한 도지사의 해석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산림청 역시 산림보호법 위반이라는 명확한 판단을 내린 바 없는 만큼 법제처를 통한 유권해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시를 향해 "도의원의 절반 이상이 디지털 전환에 반대하고 있고 상임위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며 "예산 편성에 앞서 연초에 도민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법의 테두리 안에서 최소한의 민속 재현은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고 위원장은 "불을 직접 피우지 않더라도 달집태우기나 통제된 불꽃쇼는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제주시 문화관광체육국장은 "향후 세부 계획을 설계할 때 위원님의 제안을 면밀히 검토·반영하겠다"고 답했다.
고 위원장은 "행정시 예산 심사까지 도정이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도민과 도의원의 다수가 디지털 전환에 반대하는 상황을 직시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