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황민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1/8500_15356_3529.jpg)
오리온에서 교섭대표 노조 지정 과정 중 또다시 조작 의혹이 제기됐다. 대표 노조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인 조합원 수가 열흘 만에 40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발표되면서 수치 조작과 사측 개입 논란이 불거졌다.
기업에 복수노조가 존재할 경우 단체교섭은 ‘조합원 수가 가장 많은 노조’가 대표권을 갖는다. 이를 교섭대표 노조라고 부르며 단 한 명의 차이로 대표권이 바뀌기 때문에 조합원 수는 교섭력의 핵심이자 노사 관계의 가장 민감한 지점이다.
24일 더리브스 취재에 따르면 오리온은 지난달 1일에서 10일까지 교섭 요구 기간을 공지했다. 한국노총 소속 오리온 영업노동조합(이하 한국노총)은 이날 조합원 206명을 신고했고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오리온지회(이하 민주노총)는 10일에 226명을 신고했다.
하지만 같은 달 31일 최종 발표된 대표교섭 단체는 조합원 숫자가 더 적었던 한국노총이었다. 신고 당시 206명이던 조합원이 열흘 사이 40명 늘어나 246명으로 집계됐다는 것이다.
민주노총은 “개천절·추석 연휴가 포함돼 실제 업무일이 2~3일에 불과한 상황에서 40명 증가가 가능한지 의문”이라며 반박했다. 안내, 가입 신청, 명부 정리 등 절차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치라고 민주노총은 주장한다.
![오리온. [그래픽=황민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1/8500_15357_478.jpg)
더 큰 문제로 지목된 건 조합원 명부의 신뢰성이다. 민주노총은 “노조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이 ‘비노조원 확인서’까지 제출했는데도 영업노조 명단에 올라와 있다면 이것은 실수가 아닌 고의로 숫자를 부풀린 증거”라고 강조했다. 회사와 영업노조가 공모해 조합원 수를 꾸며냈다는 정황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노총은 “한국노총이 스스로 206명을 인정한 상황에서 246명은 교섭 요구 기간(10월 1~10일) 증가분일 수 없다”며 “10월 11일 이후 추가된 인원을 소급해 넣었거나 존재하지 않는 조합원을 포함한 가공된 숫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이러한 의혹이 제기되는 배경에는 오리온의 과거 전력이 자리한다. 지난 2015년·2017년·2023년 모두 사측 관리자들이 노조 탈퇴·가입을 유도하거나 교섭 창구 단일화 과정에서 특정 노조와 부적절하게 협조한 정황이 드러났고 일부는 부당노동행위로 검찰 송치되기도 했다.
오리온 관계자는 더리브스 질의에 “회사는 노조법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며 노조 활동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민주노총 오리온지회는 오는 26일 고용노동부 앞에서 특별근로감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사측에 고소장을 제출할 계획이다.
마선주 기자 msjx0@tleav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