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국민은행이 연말까지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접수를 전면 중단하면서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 NH농협은행 등도 모기지신용보험·모기지신용보증을 통한 신규 대출을 중단하거나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접수를 제한하는 등 연쇄적인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KB국민은행은 21일 올해 실행되는 주담대 접수를 연말까지 중단한다고 밝힌 상태다. 대면 창구는 24일부터, 비대면 채널은 22일부터 신청을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타행 대환대출(주담보·전세·신용대출)과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Ⅰ·Ⅱ’ 접수도 22일부터 중단한다.
국민은행 측은 “올해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맞추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다만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전세자금대출과 내년 실행분 대출은 현재 신청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하나은행도 오는 25일부터 영업점에서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멈춘다. 앞서 하나은행은 대출 모집인을 통한 신규 가계대출 중단과 비대면 전세대출 신청 제한을 시행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조치로 연말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지게 되었다.
우리은행은 지점별로 주담대·전세대출 한도를 각각 10억원으로 묶어 대형 대출이 몇 건만 집행돼도 신규 접수 여력이 급격히 줄어드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창구를 완전히 닫지는 않았으나 연말까지 대출 모집인을 통한 신규 가계대출을 중단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금융당국의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와 총량 관리 강화의 영향이다. 당국이 하반기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대폭 줄이면서 많은 은행이 올해 배정된 한도를 이미 소진했거나 여유가 거의 남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은행들이 가산금리 부과 없이 총량 목표를 맞추는 현실적 방안으로 신규 취급 자체를 중단하는 선택을 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말까지 배정된 한도를 맞추기 위해 취급 자체를 중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출이 시급한 소비자들은 빠르게 은행과 상담해 대안과 일정 조정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